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경험사전

[영업 경험사전] 지급 기일은 몇일로 해야 되나요? (feat. 하도급법)

반응형

저번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오늘은 '여신 기일'에 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1. 기업의 형태(크기)에 따라 여신 기일이 달라진다.

고객사와 우리 회사의 형태에 따라 여신 기일이 달라집니다.

 

대기업 - 대기업 / 대기업 - 중견기업 / 중견기업 - 대기업

 

이런 식으로 경우의 수가 나눠집니다.

우리 회사가 중견기업인데, 고객사가 대기업일 경우에는 여신 기일이 '60일'이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국룰입니다. 유래는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 13조에서 온다고 생각합니다.

 

제13조(하도급대금의 지급 등)

①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에게 제조등의 위탁을 하는 경우에는 목적물등의 수령일(건설위탁의 경우에는 인수일을, 용역위탁의 경우에는 수급사업자가 위탁받은 용역의 수행을 마친 날을, 납품등이 잦아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가 월 1회 이상 세금계산서의 발행일을 정한 경우에는 그 정한 날을 말한다. 이하 같다)부터 60일 이내의 가능한 짧은 기한으로 정한 지급기일까지 하도급대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꼭 대기업 - 중견(중소)기업 간의 거래라고 해서 하도급법의 적용을 받는 것은 아니지만, 괜히 나중에 큰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대기업에서는 보통 중견(중소)기업과는 60일 이내의 지급 기일을 지키도록 하고 있습니다.

 

만약, 고객사가 우리회사보다 규모가 작은 경우에는,

 

1) 고객사가 갑일 경우 : 60일이든 90일이든.. (120일 이든) 까라는대로 깐다.

2) 우리가 갑일 경우 : 30일이면 인심 썼다.

 

사실 영업에서 고객사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누가 갑이냐'이죠 ㅎㅎ 

 

하지만, 영원히 갑인 곳은 없습니다.. 제발 잘 될 때 가격은 올리더라도 태도는 겸손하시길 바랍니다 모두

 

이 외에 머리 아픈 경우들도 있습니다.

 

"500만원 이하일 경우 익월말 입금, 500만원 이상일 경우 60일 뒤 입금"

이런 식으로 금액에 따라 지급 조건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은 '연구소'에서 발주를 진행하는 경우와 '양산구매'를 통해 발주를 진행하는 경우에도 지급 조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우리 영업이 신경써야 할 것은 뭐다? "그래서 돈이 정확히 몇월 몇일에 들어오는건데?"

 

이 부분을 항시 염두에 두고, 같은 회사와의 루틴한 거래일지라도 항상 제품 출고 전 '지급 기일'을 다시 한번 살피는 꼼꼼한 영업인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신입시절 다양한 변수에 지급 조건을 살피지 않고, 돈이 더 빨리 들어와 깨지고, 더 늦게 들어와 깨지고... 이게 또 영업 자체만의 문제가 아니라, 회계팀에서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에 관한 계획'을 세우기 때문에 회계팀한테도 깨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