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경험사전

고혈압 환자 절대 이부프로펜 진통제 먹지 마세요

반응형

타이레놀 아세트아미노펜

우리가 흔히 진통제라고 부르는 것에는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타이레놀로 대표되는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그리고 이부프로펜 계열(부루펜, 탁센, 이지엔 등)입니다.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은 해열, 진통 효과는 뛰어나지만 '소염' 효과는 미미한 편입니다. 반면 이부프로펜은 '소염+진통제'로써, 빨갛게 붓거나, 염증이 있거나, 관절을 눌러 아픈 몸살 증상 등이 있을 때 효과가 더 좋은 편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열이 나거나, 단순 통증일 경우에는 타이레놀, 염증이나 붓기가 심할 경우엔 부푸펜을 드시면 됩니다.

 

진짜 중요한 것은 지금부터입니다. 위 설명만 보면 이부프로펜이 더 상위 버전의 약인 것처럼 들리지만,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습니다.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등은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로 불립니다. 스테로이드처럼 강하지 않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통칭하는 말입니다.

 

그런데 바로 이 NSAIDS 알러지를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검색창에 'NSAIDS 알러지'라고 검색해보면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알러지를 갖고 있습니다.

엔세이즈 알러지

 

증상은 주로 몸의 특정 부위가 '붓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많은 사람들이 주로 눈 주위가 붓는다고 하지만 심한 경우엔 목 부위까지 부어오르며 약을 먹지 않으면 장시간 가라앉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이 알러지를 보유한 사람들은 신체적 무리가 오거나 스트레스가 심할 때 알러지가 발현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약물을 잘못 복용하였을 때만큼 심하게 붓지 않는게 보통입니다. 그 말은 약을 잘못 복용하여 붓는 경우에는 심하게 붓는다는 것입니다.

 

또, 이부프로펜 계열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이부프로펜 계열 약물은 복용 시, 혈소판의 기능을 떨어뜨려 혈액응고가 잘 안되게 합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아스피린'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와 같이 아스피린을 복용하고 있는 분들은 이부프로펜 계열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같은 이유로 수술을 앞둔 환자도 이부프로펜 계열을 피하셔야 합니다.

 

 

해열진통제를 먹을 시, 술은 당연히 최소 24시간은 텀을 두고 먹는 것이 좋으며, 커피 또한 3-4시간 정도는 텀을 두고 먹는 것이 좋습니다. 당연히 커피도 같은 날 안마시는게 더 좋겠죠.

 

이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