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자: 임순기(닉네임: 리스크)
□ 일정: 2, 4째주 토요일 밤 9시
□ 강의방식: 실시간에는 종목까지 언급(강의 위함), 녹화본에는 지울 가능성 大
□ 블로그 링크: https://blog.naver.com/limsk1212
□ 내용
- 수익/시간 : 시간을 짧게 하여 수익률을 높이는 것보다, 목표수익을 올리는 것이 수익률이 올라갈 확률이 크다.
- 가격이 가치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때, 우리는 매수를 해야한다.
- 환경이 매우 중요한 분야다. (한솔제지가 오르고 있는 것도 환경때문인 것으로 '추정'한다. 21.08.22 기준)
- 지구온난화에 따른 온도 상승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들은 '시베리아', '북극' 지역이다. 그래서 얼음이 많이 녹는 것이다.
- 학자들은 1960s'부터 태양 활동이 위축되고 있음에도 기온은 오르고 있기 때문에, CO2가 지구온난화의 영향이라고 본다.
- 데이터 상으로 가뭄, 폭풍이 심해지고 있으며, 얼음이 녹으면서 수백만년 전 갇혀있던 병균까지 나오고 있다.
(투자자의 시선 : 칠레는 안데스의 만년설을 이용하여 농사를 짓지만, 지속적으로 만년설 감소 중. 칠레산 와인 가격 상승 요인 / 가뭄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상승 가능 등)
- 하수처리의 현대화 필요 (관련 업체 공부 필요)
- 제철산업 : 석탄 이용 → 수소 이용 (수소를 사용하면 부산물로 물이 나옴)
-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빌 게이츠)' : 가능한 모든 과정을 전기화하라 / 이미 탈탄소화한 전력망으로부터 전기를 얻어라/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해 탄소포집 기술(CCUS)을 활용하라 / 더 효율적으로 자재들을 사용하라
- 탄소 발생 주요 요인 : 전력생산/철강/정유화학/시멘트 → 탄소 줄이기 위해 포집 기술 필요
- 수소 : CH4 발생으로 '그레이' 수소로 불림 → 포집 필요 / 신재생 에너지로 물 분해해서 하는 것이 '그린' 수소
→ 하지만, 수소는 꼭 필요하다. 따라서 그레이 수소라도 발을 걸쳐놔야 한다. (왜 필요한지는 뒤에 설명)
- 신재생 에너지를 알기 위해서는 전력 구조에 관해 먼저 알아야 한다.
→ 계절별 전력 사용이 몰리는 시간대가 다름. 이걸 균일하게 맞춰줘야 함.
→ 원자력/석탄/석유 : 기저발전(쉽게 키고 끌 수 없음), 수력, 가스: 첨두발전(비교적 쉽게 키고 끌 수 있음)
→ 풍력, 태양력: 간헐적 발전(조건이 갖춰줘야만 가동 가능) ▶ 신재생이 주전력원이 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 필요(ESS) or 수소로 보관, 여기서 자연환경에 따라 ESS의 한계가 발생함. 따라서, 수소 보관이 굉장히 중요해짐(수소 탱크는 크게 비싸지 않음) ▶ 이것이 수소가 중요하고, 수소로 가는 이유
- 전기가 남으면 버려야 함. 이걸 수소로 전환하여 보관하는 것이 포인트.
[SGC에너지]
- 온실가스 배출권 : 배출 허용량 - 실제 배출량 = 감축잉여량 → 판매
→ 배출 허용량이 매년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배출권의 가격은 매년 상승하는 것임
→ 배출권은 기존 설비가 배출량을 감축했을 때만 얻을 수 있는 것이며, 현재는 새로운 설비들이 아무리 신재생으로 생산한다고 하더라도 배출권 자격을 부여하지 않음 (기존 배출권 소유 기업들의 희소성이 커지는 이유)
- REC : 신재생 인증서 (대상에너지별로 가중치가 다름)
- RPS :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12.01.01 시행)
→ 화력(석탄, LNG), 원자력 발전소는 rps 의무 비율에 따라 REC를 구매해야 한다. rps 의무 비율은 향후 30%까지 올라갈 예정임. (목재는 키워서 내는 효율이 타서 내는 탄소보다 많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무탄소 소재로 인식한다.)
※ 목재(우드펠릿, 우드칩, 폐목재): 나무를 잘라서 하는 것이 아니라, 비(불)사용 목재(나뭇가지, 톳밥 등)를 활용하는 것임
↑↑↑ SGC 에너지 사업 포트폴리오.
: 그린파워(신재생이라서 REC만 보유), 시설전환(기존 화력을 목재(신재생)로 전환이므로, 탄소도 줄여 탄소배출권, REC 모두 보유), 탄소포집(신재생 아니라 REC 없고, 탄소배출 줄이므로 탄소배출권은 있음), 수소연료전지(신재생이므로 REC보유, 신규 시설이라 탄소배출권 부여 못받음)
- 포트폴리오에 꼭 환경기업을 담길 바람.
[강의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xZRWCzAXd_4&list=PLXaIG4OKZlFWYbxAkrAwFV0DMCGx9blnE&index=3
'이것저것 경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시장 폭락올까? 폭락장에 담아야 할 종목과 담지 말아야 할 종목은? (Feat. 신사임당 & 김현준 대표) (0) | 2021.10.11 |
---|---|
의왕 아울렛 타임빌라스 후기 (강아지 동반 가능?) (0) | 2021.10.10 |
SAP 프로그램 T-Code (티코드) 보는 법 / 가리는 법 (0) | 2021.10.06 |
주식투자 마이너스 수익률 극복기 (2) (0) | 2021.09.15 |
주식 투자는 내 주변부터 살펴보자 (0) | 2021.08.30 |